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1 jetpack compose 개요 및 구성 Jetpack compose 안녕하세요 몇 달 전에 구글에서 메일이 왔습니다. Jetpack compose를 써보라는 메일이었고 간단한 튜토리얼을 조금 맛보았습니다.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자바/코틀린 + android:xml이 있습니다. 아마 현재까지 개발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했던 프레임워크일 거라 봅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굉장히 불편합니다. 예를 들어 Button을 누르면 Toast가 뜨는 앱을 만든다고 했을 때 activity_main.xml에서 Button을 추가한 다음 id를 입력해 주고 MainActivity.java파일에서 findViewById를 선언하여 버튼을 가져와서 Toast 코드를 작성해 줘야 됩니다. 실.. 2023. 2. 18. chat gpt란 무엇인가 사용법 및 후기 chat gpt chat gpt란 OpenAI에서 GPT3.5 기반으로 만든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입니다. gpt3.5란 openAI가 2021년 9월 현재 공개한 최신 최대 자연어 처리 모델로 딥 러닝을 이용해 텍스트를 만들어내는 자기 회귀 언어 모델입니다. 1,750억 개의 매개변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연어 이해 기계 번역 및 텍스트 생성과 같은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자기회귀 언어 모델 먼저 자기회귀 언어 모델에서 회귀란 회귀분석을 의미합니다. 회귀분석이란 통계학에서 사용하는 자료 분석 방법 중 하나로 여러 자료들 간의 관계성을 수학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위 그래프를 보면 각각 데이터들의 관계성을 직선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데이터들 간에 관계성을 찾아내는 게 회귀분석입니다. 활.. 2023. 2. 18. 안드로이드 공공데이터 xml volley로 파싱 안녕하세요 공공데이터를 보면 파일데이터랑 오픈 api로 나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여러 가지 데이터가 있지만 파일데이터는 csv, 오픈 api는 json이랑 xml이 대부분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파일데이터의 json+xml가 있는데 이건 담당자가 csv파일을 올리면 자동으로 json이랑 xml로 변환이 됩니다. 오픈 api에 올려진 데이터들은 따로 공공기관이 용역 업체를 통해 올린 겁니다. 안드로이드 공공데이터 json변환을 하고 싶으면 아래에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https://ruminz.tistory.com/147 공공데이터의 회원가입을 완료 후 로그인을 해주세요 저는 근로복지공단_질병판정서 조회 서비스 데이터를 가지고 파싱을 해보겠습니다. 해당 데이터를 활용신청한 다음 마이페이지에서 .. 2023. 2. 11. 교통비 줄이기 인천도시철도 전용 정기승차권 후기 안녕하세요 갈수록 교통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서울시에서 대중교통비를 인상한다고 발표했었죠... 교통비를 줄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인천도시철도 전용 정기 승차권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요약 0. 인천 1호선 및 인천 2호선 그리고 인천지역 지하철역에만 있는 7호선에서만 사용 가능 1. 현금 52500원 준비 2. 역직원 호출후 2500원 카드값 지불하면 카드를 줌 3. 카드 받고 보증금 환급기에서 요금 5만 원 충전 후 사용 4. 60회 사용 가능 5. 30일이내 다 써야 됨 다 안 쓰면 남은 횟수 다 삭제됨 인천도시철도 전용 정기승차권은 인천1호선 및 인천 2호선 그리고 인천지역에 있는 7호선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발급은 각 철도 역 고객센터에서 발급가능합니다. 역직원을 호출하여 카드값 현금으.. 2023. 2. 9. 위치벡터란 무엇인가 그리고 왜쓰는건가 안녕하세요 최근에 다시 물리를 좀 보게 됐습니다. 오랜만에 봐서 그런지 기초적인거 부터 하나하나씩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자세히 보고 있네요 ㅎ 원리를 보면서 위치벡터라는 표현이 종종 나오는걸 볼 수가 있었습니다. 위치벡터라는 개념을 이해하고 좀더 오래 기억하기 위해 포스팅을 합니다. 틀린 표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ㅎㅎ 위치벡터 정의 ,쓰는이유 먼저 고전역학을 배우는 이유는 물체의 운동상태를 설명 예측하기 위해 만든 학문입니다. 거기서 벡터라는 개념이 생기고 이 개념은 절대 빠질 수가 없는 개념이 됐습니다. 벡터란 크기랑 방향을 가지는 물리량입니다. 대표적으로 속도가 있죠 그리고 벡터는 크기랑 방향이 같으면 어디에 있던 같은 벡터입니다. 문제는 벡터를 저런 식으로만 둔다면 수학적으로 다루.. 2022. 12. 29.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39 다음